재테크 길잡이

퇴직금 지급기준 퇴직금 계산방법 계산기 한눈에 정리

프롬크크 2025. 1. 31. 12:27

퇴직금 지급기준과 계산방법, 간단히 알아볼까요?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궁금해할 퇴직금 지급기준 퇴직금 계산방법에 대해 정리해볼게요. 저도 퇴사할 때 퇴직금이 얼마나 나올지 몰라서 혼란스러웠던 경험이 있거든요. 여러분께는 제가 알아본 정보를 바탕으로 쉽고 친근하게 설명해드릴게요. 😊


퇴직금 지급기준,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을까요?

퇴직금은 모든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. 아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답니다.

✅ 퇴직금 발생 기준

  1. 4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
    • 주 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니에요.
  2. 1년 이상 근속
    • 동일한 회사에서 최소 1년 이상 근무해야 퇴직금이 발생합니다.

이 두 가지 조건만 충족하면, 정규직뿐만 아니라 계약직, 아르바이트생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어요.


퇴직금 지급기한

회사는 퇴직 후 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해요. 만약 기한 내 지급하지 않는다면, 사업주는 다음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3년 이하의 징역 또는 2천만 원 이하의 벌금
  • 연 20%의 지연 이자 추가 지급

다만,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하면 지급기한을 조정할 수도 있으니,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.


퇴직금 계산방법, 어렵지 않아요!

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하기 전 3개월 동안 받은 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돼요. 아래는 간단한 계산 공식이에요.

퇴직금 계산 공식

퇴직금 = 1일 평균임금 × (재직일수 ÷ 365) × 30  

 

 

1일 평균임금 구하는 법

1일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 받은 임금총액을 3개월 동안의 일수로 나눈 금액이에요.

임금총액에 포함되는 항목:

  • 기본급: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월급.
  • 상여금: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보너스(연간 상여금은 3개월 기준으로 나누어 반영).
  • 연차수당: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한 수당.
  • 연장근로수당: 초과 근무로 받은 수당.

퇴직금계산기 활용하기

직접 계산하기 어렵다면 고용노동부 퇴직금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어요. 저도 퇴사 전에 이 계산기를 사용했는데, 정확하고 간편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답니다.

사용 방법

  1.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.
  2. "퇴직금계산기" 메뉴를 찾아 클릭.
  3. 재직기간, 퇴사 전 3개월 급여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퇴직금이 계산됩니다.

퇴직금 관련 팁!

  1. 퇴직 전에 연차수당 확인하기
    •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수당으로 받게 되는데, 퇴직금 계산에도 영향을 미쳐요. 퇴직 전 남은 연차를 어떻게 처리할지 회사와 상의하세요.
  2. 퇴사 전 3개월 급여가 중요
    • 상여금이나 연장근로수당이 포함되므로, 퇴사 전 3개월 동안 받는 임금이 퇴직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  3. 합의는 서면으로 남기기
    • 퇴직금 지급일을 조정하거나 합의한 내용은 서면으로 남겨 분쟁을 방지하세요.

제가 경험한 퇴직금 계산

제가 퇴직했을 때는, 회사에서 상여금이 연 1회 지급되었어요. 이 상여금도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는데, 연간 금액을 12로 나누고, 다시 3개월 기준으로 나누어 계산했더라고요. 고용노동부의 계산기를 활용하니 정확하게 금액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.